728x90

[서울 지리]  충정로역-경기대-독립문역-서대문역-시청역-북창동-을지로입구역

 

3월 초에, 서대문/시청 부근을 돌아다녔습니다.

목적은 아파트 구경 및 역사 지리 학습입니다.

 

충정로역의 동쪽 부근에는 아직 노포들이 있고, 개발이 안된 상태죠. 그 블록에 프랑스 대사관이 있습니다.

경기대쪽 골목길로 접어들면, 경의중앙선이 지하로 지나가고요. 안산쪽으로 쭉 언덕을 올라가면  7거리가 나옵니다. 서쪽은 북아현동이죠. 북쪽으로 쭉 올라가면 안산이 나옵니다. 그 고개를 넘으면 독립문역이 나옵니다.  안쪽의 동쪽 동네의 이름이 하나는 '천연동'이고 하나는 '냉천동'에네요.  '하늘 아래 자연스럽게 시원하다' 라는 것일까요? 쭉 내려가면 '영천시장'이 있네요.

그 건너편은 종로구인데, 교남동입니다. '경희궁 자이' 단지가  1,2,3,4단지가 들어 섰네요. 단지 앞쪽은 쭉 상가 단지 '벽'이 있고요, 뒤쪽은 평탄합니다. 경사지를 평탄화한 것 같습니다. 도로쪽은 높이고, 뒤쪽은 낮추고. 강북삼성병원쪽으로 가다보면, '스위스 대사관'이 있습니다.  그 대사관 벽이 시멘트인데 나무결 느낌이 듭니다.

서대문역 서쪽에서 남쪽으로 가면 '경찰청' 남쪽에 보면,  아주 오래된 '서소문 아파트'가  홍콩 아파트 느낌으로 서 있습니다. 이 아파트는 복개천위에 지어졌다고 합니다.  다시 동쪽으로 가면,  러시아 대사관, 배재학당이 나옵니다. 아관파천(덕수궁->러시아공관)의 수준은 골목길 몇 백미터 달리기 수준으로, 밀집된 공간이었네요.  덕수궁 뒤쪽 골목길에서 덕수초교쪽으로 걷다보면 (골목길 앞에 경찰이 있지만, 그냥 지나치면 됩니다.) 왼쪽에 미국대사관저, 영국대사관( 덕수궁 주위에, 미영러프의 공사관)이 보입니다. 시청쪽으로 다시 골목길로 접어들면 구한말의 좁은 골목길에 성당수녀원 건물의 색감이 아주 운치가 있습니다. 골목길 끝에 서울시의회(구, 국회의사당)이 나옵니다.

태평로 동쪽은 북창동인에 안으로 들어가니, 넓은 골목길이 나오네요. 한국은행 건물도 보이고요. 다시 북쪽으로 가면 조선호텔이 나오고, 환구단의 정문이 시청광장쪽이네요. 무교동에 이릅니다.

 

뉴스나 신문에 종종 나오는 곳을 찾아다니고 있습니다.

20여년 전에 상경했을 때 접한 것들과 또 다른 느낌이 듭니다.

아주 오래된 서울의 옛날 사진 및 역사 내용을 오버랩시켜봅니다.

 

도심의 공해( 버스, 차량)도 많이 줄었고, 녹지도 많이 늘어난 듯 합니다.

삭제

728x90
반응형
728x90

경북의 영주역입니다.

새롭게 짓고 있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역사 외관을 예전 한옥의 문 모양과 비슷하게 한 것 같았습니다.

 

색상도 그렇고,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담함...)

 

2024년 5월 17일 현재. 영주역 역사

 

 

 

 

그 이전 영주역

728x90
반응형
728x90

 

송파구에 있는 가락시장 네거리(사거리)의 주변 공간은 상당히 넓습니다.

음, 일반적인 사거리(네거리)의 20배~40배 정도되지 싶습니다.

동서 방향은 양재대로이며 보통 왕복 8~10차선이죠.

남북 방향은 송파대로이며, 이 또한 왕복 10차선쯤 되죠.

교차로 이외에, 횡단보도의 섬이 있으며  주변에는 작은 공원들이 있습니다.

 

면적 공간을 네이버지도 앱을 통해 구해보니, 대략 80,841 제곱미터이며, 평수는 25,000평이네요. 

25평을 수평적으로 1,000가구의 넓이네요. 대단합니다.

 

참고로, 광화문앞의 도로 및 그 주변( 광장제외)이 약 36,000제곱미터입니다.

가락시장 네거리가 거의 2배 수준의 넓이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방문하는 곳에서 술 한잔을 하기 위해,  가능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

 

이번에 찾아 간 곳은  철원의 물윗길입니다. 

지난 밤에 내린 비로 인해,  수량도 풍부했고

일부 구간은 수위로 인해 통제되었다고  입장료도 50%할인을 받았습니다.

 

주요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동서울 터미널 -> 철원군 동송 터미널( 매시 출발, 2시간 정도 소요)

2. 동송읍 -> 장흥 3리 ( 농어촌버스 2번 버스, 10분소요))

3. 장흥 3리 -> 태봉대교.(->은하수교->직탕폭포)

4.장흥3리 직탕입구 -> 동송 터미널 ( 농어촌버스 1번 버스)

5. 동송 터미널->동서울 터미널( 막차 19:00)

 

농어촌버스 철원 1번 및 철원 2번은 네이버에서 실시간으로 시간 조회됩니다.

버스 승강장에는 도착 시간 안내판이 없습니다.^^

네이버에서 버스 노선도 및 배차 정보 조회 화면...    빨간색( 대중교통 및 도보 이동 경로)

 

 

1. 동서울 터미널->철원군 동송 터미널

동서울터미널에서 매시에 출발이 있습니다. 1시간마다 있습니다. 2시간 조금 안 걸립니다.

토요일 10시경에 출발했는데,  굳이 예매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 같았습니다.

중간 정류장이 포천을 비롯하여  4-5군데가 있습니다.

 

2. 동송터미널 건너->장흥3리 ( 논어촌버스 2번 버스)

동송 버스 터미널의 길 건너편에 버스 승강장이 있습니다. 버스 승강장의 안내에는 길 때는 2시간 마다, 빠를 때는 30분마다 있습니다. 장흥3리에 버스 승하차장이 3개 정도 있습니다. 태봉교는 그냥 장흥3리 입니다.

내려서, 마을 쪽으로 들어가서, 농로를 걸어서 약 15분 정도가면 태봉교에 도착합니다.

태봉교를 기준으로 한탄강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논이 있는 평지에서 강은 푹 꺼진 형태로 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둑이 있는 강이 아닙니다.

2024.03.23.에 찍은 사진입니다. 이평리 정한약국 승강장

 

3. 장흥 3리 -> 태봉대교.(->은하수교->직탕폭포)

물윗길 등으로 탑방하고, 직탕폭포가 마지막으로  집으로 출발합니다.

 

 

 

역시 농로를 서쪽으로 이동합니다. '장흥3리 마을회관'의 승강장이 있습니다. 대략 15분에서 20분정도 소요됩니다.

농로를 가로질러야, 버스 승강장까지 갈 수 있습니다. 논에 많은 쇠기러기가 있네요.

 

 

4. 장흥 3리 직탕입구 -> 동송 터미널

동송 터미널에서 신철원가는 버스는 2번 버스이고

같은 경로로 되돌아 오는 것은 1번 버스 입니다.^^

버스가 띄엄띄엄 다니기 때문에, 시간 조정에 실패하면, 택스를 부르면 됩니다.

 

5. 동송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매시에 출발합니다. 막차는 19:00입니다.

 

 

 

 

 

 

팜플렛의 우측 자료가 잘렸네요^^

 

 

간밤에 비가 많이 내려, 일부 구간은 통제되어서 50%감면 받았습니다.

유연한 운영 능력이네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