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소문 역사 공원이 있습니다.

서울역 북쪽,  숭례문 왼쪽,  시청역에서 왼쪽, 경의선 왼쪽에 있습니다.

 

 

 

서소문역사공원 북쪽에 가면,  '서소문 밖 순교자 현양탑'이 있습니다.

그림, 서소문 밖 순교자 현양탑,  좌 우에 각각 박해 떄의 순교자  위가 있습니다.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신유박해(1801년, 25위) - 순조 1년 기묘박해(1819년, 2위) - 순조.. 기해박해(1829년, 41위)- 순조.. 병인박해(1866년, 3위)-고종 3년 에 대한 위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곳이 왜 성지가 되고, 순교의 현장이 되었는지의 그 옆의 조그마한 비석에 설명이 되어져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남대문 밖으로,  공원 위치가 조금 언덕 아래로, 처형된 장면이 멀리서도 가장 잘 보이는 곳이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마포대교 북단에서  공덕역 부근까지 꽤 높은 건물들이 많은데, 왜일까요?

 

우선, 서울시의 계획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미 1979년 카터 미국 대통령 방한에 앞서 김포공항에서 마포대교를 거쳐 서울 도심부로 이어지는 코스의 정식 명칭을 '귀빈로'로 지정하고 정비사업을 추진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서울 88올림픽을 즈음하여 '보여주기식'으로 높은 건물 건립이 의도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그 당시 도화동, 염리동 등 마포 일대의 불량 주거지를 가리는 역할을 높은 건물들이 하였다고 합니다.

더불어 80년대 고동 경제 성장에 따른 여의도 증권, 금융사 이전 또는 임대 사무실 수요로 많아 높은 건물들이 들어섰다고 합니다. - 출처 : 걸으면 보이는 도시, 서울 ...  이종욱 

 

한 동안의 건설 경기에의해, 건설 노동자들에게 제공할 음식이 개발되었고 그 식당 일대를 '마포갈매기골목'이라고 한다고 합니다.(마포역 3번 출구와 연결되는 골목)

 

 

 

 

728x90
반응형
728x90

도서  "걸으면 보이는 도시, 서울 : 드로잉에 담은 도시의 시간들"에서 소개된 서울역 서쪽 지역을 투어하였습니다.

 

이동 경로,  구글 맵 : 타임라인

 

서울역 : 지하철 4호선으로 도착

서울로 : 예전 고가도로, 에스컬레이트가 겨울철 운영 중단으로, 엘리베이터이용, 이태원100일 행진 목격

서소문로6길 : 성요셉 아파트, 중림창고

충정로역 (2호선, 5호선) : 종근당, 주변 아파트

손기정로1길 :  아현가구거리

손기정로 : 언덕을 한참 올라감.( 마포구 -> 중구)

손기정기념관 : 체육공원,  자이아파트, 비발디 아파트

만리재로 : 왼쪽은 Old, 오른쪽은 재개발 New. 멀리, 후암동이 보임.

만리시장 : 상가 천정

숙명여대 :

효창공원 : 김구 선생 묘, 의열사, 김구 기념관

효창공원역 :  경의선, 6호건, 경의선 공원

 

투어 길의 고저는 2-3차례 상당히 높은 곳, 낮은 곳에 반복되었습니다.

한강대로의 초고층 건물과 남산타워가  위치에 대한 기준점 역할을 해 주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지번 주소 체계에 비해,  도로명 주소체계는  그 원리 즉 번호 부여 체계의 기초 원리를 알면, 쉽계  목적지의 위치를 파악하여 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주소체계가 도입된  유럽이나 미국을 여행할 기회에 많이 느켜셨을 것입니다.

 

필자가 알고 있는 대원칙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특정 도로명에서 왼쪽 건물이나 골목길은 홀수 번호 부여, 오른쪽은 짝수 번호 부여.

2. 그 시작점은 즉 작은 수는  남쪽 또는 서쪽.

3. 도로명은 거리에 상관없이  그 다음 작은 길에 대해  +2 씩 부여.( 다른 도로명과 겹칠 경우, 큰 도로를 우선 부여.)

4. 마지막 숫자에 10을 곱하면  거리 계산 가능. 예,  양재도로 1000  은 양재도로 시작점인 저 서쪽 끝, 코스트코 부근에서 1000 x 10m  = 10,000m  즉  10km 지점이라는 것.

 

근데,  인접한 도로인 '송파대로'와 '오금로'의 번호 부여 체계는 서로 반대 방향입니다.

송파대로는 남쪽에서 북쪽에서 번호가 부여됩니다.  즉 동쪽이 짝수 번호 길이빈다. 예 송파대로 64길이 동쪽에 있습니다.

그러나, 오금로는 반대로 북쪽인 잠실나루역에서 시작하여 오금/마천/거여 방향입니다. 즉, 동남쪽으로 가면서 번호가 증가합니다. 그래서 송파대로 64길 옆이  오금로 32길이 될 수 있습니다.

 

인접한 도로인데 'Why'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위의 대원칙 사항은 제대로 적용되었습니다.

파악한 것은 송파대로는 45도가 안되게 북쪽이고,  오금로는 45도 넘게 서쪽에 가깝습니다.

 

그림 1. 송파대로,  북쪽 기준으로 45도 미만이다. 그러니 남쪽부터 번호가 부여된다.

 

그림 2. 오금로는 송파대로와 인접한 도로이지만, 전체적인 윤곽이 북쪽 기준으로 45도 넘는다. 그래서 서쪽부터 번호가 부여되어, 잠실 기준으로  송파대로와 다른 번호 체계이다. 잠실역 부근(지도상)은 오르쪽으로 짝수 번호이고, 오금로를 부여받으면, 홀수 길을 부여 받는다.  요약하년 송파대로는 남쪽시작하여, 복정역에서 시작,  오금로는 서쪽(북쪽)부터 시작하여 번호 부여 시작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